사진 이야기

사진 정리 하기 (중급편)

다즐링 O.P. 2012. 10. 23. 23:56

* 사진 정리 하기 : Raw + JPEG으로 촬영하기!!


공식적인 사진에 대한 이야기 첫 번째 글로 다르질링이 사진 정리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체계적으로 정리해두어야 나중에 작업하기 편리하니, 가능하면 체계적인 정리 습관을 들이도록 합시다. 가능하면 출사를 다녀온 후, 곧바로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중으로 미루면 귀차니즘 덕분에 메모리 카드에 점점 쌓이는 사진들을 보게 됩니다. 


그럼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해당년도 폴더 > 촬영 날짜, 장소 폴더로 데이터를 옮깁니다. 그 후 JPEG 폴더를 생성하여 JPEG 파일을 따로 정리합니다.  Adobe Bridge를 실행하여 해당 폴더로 이동합니다. 또는 Raw 파일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이용하여 연결 프로그램으로 Bridge를 선택해도 됩니다.

*JPEG 파일을 따로 촬영하는 이유는 시간이 없거나 해당 프로그램이 없을 때, 리뷰하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카메라 설정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를 보는 것도 사진 편집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② Ctrl + L (전체 화면) 또는 Film Strip 모드에서 리뷰 합니다. 전체 화면 모드에서는 숫자키를, Film Strip 모드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진의 별점을 매길 수 있습니다. 후에 편집할 사진들을 별점을 이용하여 체크해 둡시다. 1점 ~ 5점까지 매길 수 있습니다. 


③ 마우스 오른쪽 버튼이나 메뉴의 라벨을 이용하여 라벨링을 할 수 있습니다.


④ 별점과 라벨링을 마친 후에 편집할 사진만을 추려봅니다. Ctrl + Atr + #을 통해서 별점 # 이상의 사진만을 볼 수 있습니다. 또는 메뉴에서 선택합니다.


⑤ 왼쪽의 필터 메뉴를 통해서 노출 시간, 초점 거리, 사용 렌즈 등으로 정리도 가능합니다.


⑥ 편집할 사진을 더블 클릭하여 포토샵으로 불러냅니다.


⑦ 사진 편집 후 해당 폴더에 JPEG 파일로 저장합니다. 저장 품질을 Maximun으로 설정합니다. 별점은 JPEG 파일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⑧ 이후 키워드 설정을 통해서 사진을 정리하기도 합니다. 키워드 설정을 해두면 나중에 사진 찾기에 편리하니, 맘에 드는 사진이 있다면 키워드를 지정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 : Adobe 통합 시스템을 통해서 리뷰를 할 경우에 별점과 라벨링, Raw 변화 데이터가 모두 XMP 파일로 저장되어서 통합적인 파일 관리에 유리합니다.


사진 정리를 위한 이야기였습니다. 처음에는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귀찮지만, 시간이 지나서 사진 찾아보기에는 어떻게든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만의 정리 방법을 찾는 것도 좋습니다. 

Bridge 외에 윈도우 기본 사진 뷰어나 Light Room을 이용한 정리, 리뷰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기본 사진 뷰어는 기능이 전혀 없는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Light Room 도 리뷰하기에 좋은 프로그램입니다만, 편집시 이용하는 프로그램의 성격이 좀 더 강해 이번 이야기에서 제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