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이야기

디지털 존 시스템 Part.1

다즐링 O.P. 2012. 11. 5. 21:11

이번에 할 이야기는 디지털 존 시스템입니다. 해당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존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수이므로, 다음 글들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2012/10/25 - [사진 이야기] - 존 시스템 Part.1


2012/10/25 - [사진 이야기] - 존 시스템 Part.2


2012/10/30 - [사진 이야기] - 존 시스템 Part.3


1. 디지털 존 시스템이란?


디지털 존 시스템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촬영 당시 떠올렸던 톤을 결과물에 재현한다. 
  • 디지털 데이터를 가지고 필름의 톤을 재현한다. 

우선 디지털 데이터와 아날로그 데이터에 대한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아날로그 데이터에 대한 이야기는 지난 존 시스템에서 이미 설명했습니다. 기억을 돕기 위해 아래 그림을 첨부합니다. 

위 그림은 필름 특성화 곡선입니다. 그래프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의 그래프 기울기가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음은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화 곡선입니다. 


브랜드 센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위의 그림처럼 이해하시면 됩니다. 필름에 비해서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이 중간 부분처럼 직선 형태인 것이 특징입니다. 이 특징 덕분에 디지털 데이터의 경우 암부 재현력이 좋습니다. 대신 명부 재현력이 약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사진 촬영 시, 노출을 하이라이트를 중심으로 잡아 하이라이트 데이터가 날아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디지털 재현 과정 


디지털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데이터로 저장됩니다. 필름 시스템에 비해 어떤 점이 다른지 유의하며 보시기 바랍니다. 



필름 시스템과 다른 점을 꼽으면 아래와 같습니다. 


  • 센서 + 처리 회로 
  • Raw 파일 변환, ICC 프로파일
  • 모니터, 프린터 ICC 프로파일 
  • 프린터 출력 농도

센서에 관해서는 앞서 다룬바 있습니다. 필름 시스템의 곡선 형태와 다른 직선 형태를 갖는 특성화 곡선이 특징입니다. 화상 처리회로의 경우는 각 브랜드별로 독자적이 포맷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캐논의 경우 CR2, 니콘의 경우 NEF 등이 있습니다. 이런 포맷을 Raw 포맷이라고 하는데, 촬영 당시의 데이터가 [각주:1]고스란이 담겨있습니다.  이후 이 Raw 데이터를 가지고 카메라내에서 정해진 설정에 따라 JPEG 파일을 형성하는데 이를 Raw 파일 변환 이라고 합니다. 역시 각 브랜드별로 프로파일이 다릅니다. 

위의 과정을 거쳐서 데이터 카드에 저장된 Raw 데이터나 JPEG 데이터를 모니터나 프린트를 통해서 재현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에 재현할 때에는 모니터별로 ICC 프로파일에 따른 차이가 있고 프린터로 재현할 때에는 프린터별로 ICC 프로파일에 따른 차이가 있습니다. 


  1. 비압축의 경우를 말합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