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존 시스템 Part.2
이번에는 디지털 존 시스템에 관한 두번째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디지털 존 시스템의 첫번째 이야기를 잘 이해하고 계셔야 이번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12/11/05 - [사진 이야기] - 디지털 존 시스템 Part.1
3. Raw 데이터 변환
디지털 데이터는 각 브랜드 별로 Raw 포맷이 다릅니다. 각 브랜드 별로 제공하는 Raw 데이터 에디터를 사용해도 좋지만, 이번에는 각 Raw 데이터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구를 소개하겠습니다. 바로 Adobe 에서 내 놓은 Adobe Camera Raw Converting Tool 입니다. ACR 은 해당카메라의 플러그인만 설치한다면 모든 Raw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아주 강력한 툴입니다. 아래 사진은 Raw 데이터를 ACR 로 열었을 경우의 스크린 샷입니다.
4. ACR 조절에 따른 Raw 데이터 변화
각 ACR 조절에 따른 Raw 데이터 변화는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습니다. 먼저 Basic - Exposure 에 따른 데이터 변화 입니다.
X 축은 각 존의 입력 데이터 입니다. Y 축은 0~255 스케일로 변화시킨 출력 데이터 입니다. 명부와 암부 모두 데이터 값이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음은 Shadows 조절에 따른 Raw 데이터 변화 입니다.
X 축과 Y 축은 위의 설명과 동일합니다. Shadow 조절에 따라 암부만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Brightness 조절에 따른 Raw 데이터 변화 입니다.
X 축과 Y 축은 위의 설명과 동일합니다. Brightness 조절에 따라 암부와 명부가 모두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명부에 속하는 특정 존은 변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음은 Contrast 조절에 따른 Raw 데이터 변화 입니다.
X 축과 Y축은 위의 설명과 동일합니다. Contrast 변화에 따라 암부와 명부 모두 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암부의 특정 존과 명부의 특정 존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위에 설명드린 4가지 조절툴은 ACR 에서 Raw 데이터를 변화시키는 주요 툴입니다. 이 4가지 툴을 이용하여 Raw 데이터에서 원하는 톤을 만드는 것이 ACR 의 목적입니다.
5. 은염 사진의 재현
이번에는 디지털 존 시스템의 또 다른 목적인 은염 - 필름 사진을 재현하기 위한 이야기입니다. 필름 사진의 톤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필름 사진의 톤을 이해해야 합니다. 측광기를 이용해서 필름 사진의 톤을 측정했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다음은 JPG 데이터와 Raw 데이터에서 각 존에 따른 0~255 스케일을 측정한 것입니다.
이 표의 JPG, Raw 데이터 값을 은염사진의 각 존에 따른 0~255 스케일과 비교하겠습니다. 1
은염 사진의 존 2의 값은 18, Raw 데이터의 존 2의 값은 38 입니다. 은염 사진의 존 5의 값은 110, Raw 데이터의 존 5의 값은 80 입니다. 은염 사진의 존 8의 값은 245, Raw 데이터의 존 8의 값은 212 입니다. 존 2, 5, 8은 톤을 재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존 이므로 이 존들을 중심으로 톤을 재현하도록 합니다. ACR의 Tone Curve를 이용하겠습니다. 아래 표 처럼 데이터를 변화 시키면 됩니다.
입력 |
출력 |
38 |
18 |
110 |
80 |
212 |
245 |
이를 ACR - Tone Curve 에서 확인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후 HSL 에서 흑백 사진으로 변환 시키면 흑백 필름의 톤을 재현 할 수 있습니다.
6. 정리하자면
디지털 존 시스템을 정리하면 ACR - Basic 툴을 통해 전체적인 톤을 조절하고 ACR - Tone Curve 툴을 통해 은염사진의 톤을 재현하는 과정입니다. 디지털 존 시스템이 톤 재현에 있어서 편리한 방법이긴 하지만 완벽한 방법은 아닙니다. 디지털 존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촬영 과정에 명부 질감이 날아가지 않도록 촬영하고, 계조가 풍부하게 촬영해야 하는 것이 전제 조건입니다. 이 조건만 지켜주신다면 Raw 데이터를 통해서 원하는 톤, 은염 사진의 톤을 살리는데 디지털 존 시스템이 도움 되리라 생각합니다.
*디지털 존 시스템과 관련된 내용은 '손영호 님'의 '디지털 사진을 위한 존 시스템의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위에서 측정한 Level 값에 따라 0~255 스케일을 정했습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