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 논증법
논증 = 원칙에 맞게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것.
1. 자비로운 해석, 역지사지 = 상대방의 주장을 최대한 합리적으로 이해할 것. (그렇지 않다면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에 빠지게 됨.)
2. 근거 제시, 근거 확인 = 상대방이 받아들이지 않는 주장을 상대방에게 설득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받아들이는 근거]를 제시할 것.
3. 입증의 책임, 입증의 권리 = 토론에서는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권리, 책임이 있다.
4. 논점 일탈 금지 = 주제와 증거의 관련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논증에서의 역할
1. 먼저 주장한 쪽이 입증의 책임이 있다. (또는 상식과 어긋나는 주장을 하는 쪽이 입증의 책임이 있다.)
2. 무지에 호소하는 것은 입증의 책임이 아니다.
3. 강자에게 대체로 입증의 책임이 있다.
4. 한쪽에서 위험하다고 주장하면 상대방에게 입증의 책임이 있다.
주장이 차이나는 유형
1. 사실에 대한 주장의 차이.
2. 의견에 대한 주장의 차이.
a) 의견 차이 인정 가능함.
b) 의견 차이 인정 불가함.
3. 언어에 대한 주장의 차이.
애매모호함과 정의
1. 은밀한 재 정의의 오류 (= 재 정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오류.)
2. 설득적 정의 (= 정의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포함시킴.)
근거의 설득성
1. 직접 체험이라도 합당한 근거를 제시한다.
2. 간접 체험의 경우 출처를 확인한다.
3. 전문가의 권위에 대해서 확인한다.
a) 전문가가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해서 발언하는가?
b) 전문가의 주장이 상식과 다르다면 근거는 무엇인가?
c) 전문가가 그 발언으로 이득이 생기는가?
억지 주장의 종류
1.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다.
2. 주장과 같은 근거만을 제시한다.
3. 주장과 유사한 근거만을 제시한다.
4. 받아들일 수 없는 근거를 제시한다.
논점 일탈의 종류
1. 논점을 모른다.
2. 의도적으로 일탈한다.
3. 토론을 방해한다.
사람에의 호소
1. 인신 공격
2. 피장파장 (= 상대방의 행동, 발언 등이 모순됨을 주장한다.)
3. 우물에 독 풀기 (= 상대방의 편견에 대해서 주장한다.)
감정에의 호소 (단, 논점 일탈에 주의한다.)
1. 대중에의 호소
2. 공포심에서의 호소
3. 동정심에서의 호소
그 외
1. 유비 논증, 비탈길 논증 ( 비교 대상에 공통점이 있는가?)
2. 인과 논증
a) 우연의 일치
b) A가 B의 원인인 경우
c) B가 A의 원인인 경우
d) A,B 가 결과이고 C가 원인인 경우
3. 일반화
a) 성급한 일반화
b) 편향된 일반화
논쟁을 위한 [for Dummy] 시리즈 같은 책이다. 전반적으로 철학자 <최 훈>의 내공이 잘 묻어나있다. 딱딱해 보일 수 있는 책이지만, 책장이 쉽게 넘어간다. 중간 중간에 작가의 위트가 돋보이는 문장이 있으니 주의 깊게 읽어보자. 논리에 대한 정보가 더 필요한 사람은 링크를 참조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