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존 시스템

디지털 존 시스템 Part.2 이번에는 디지털 존 시스템에 관한 두번째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디지털 존 시스템의 첫번째 이야기를 잘 이해하고 계셔야 이번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12/11/05 - [사진 이야기] - 디지털 존 시스템 Part.1 3. Raw 데이터 변환 디지털 데이터는 각 브랜드 별로 Raw 포맷이 다릅니다. 각 브랜드 별로 제공하는 Raw 데이터 에디터를 사용해도 좋지만, 이번에는 각 Raw 데이터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구를 소개하겠습니다. 바로 Adobe 에서 내 놓은 Adobe Camera Raw Converting Tool 입니다. ACR 은 해당카메라의 플러그인만 설치한다면 모든 Raw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아주 강력한 툴입니다. 아래 사진은 Raw 데이터를 ACR 로 열었을 경.. 더보기
디지털 존 시스템 Part.1 이번에 할 이야기는 디지털 존 시스템입니다. 해당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존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수이므로, 다음 글들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2012/10/25 - [사진 이야기] - 존 시스템 Part.1 2012/10/25 - [사진 이야기] - 존 시스템 Part.2 2012/10/30 - [사진 이야기] - 존 시스템 Part.3 1. 디지털 존 시스템이란? 디지털 존 시스템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촬영 당시 떠올렸던 톤을 결과물에 재현한다. 디지털 데이터를 가지고 필름의 톤을 재현한다. 우선 디지털 데이터와 아날로그 데이터에 대한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아날로그 데이터에 대한 이야기는 지난 존 시스템에서 이미 설명했습니다. 기억을 돕기 위해 아래 그림을 첨부합니다. 위 그림은 필름 .. 더보기
존 시스템 Part.3 6. 존 시스템과 현상 이번에는 현상과 관련된 존 시스템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Part.2까지의 존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는 도입부에 해당한다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현상과 관련된 존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 하려면 필름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필름은 빛을 받아들이는 감광층과 필름을 지지하는 베이스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감광층에는 은입자가 있어서 빛이 닿으면 입자 구성이 변하게 됩니다. 그리고 구성이 변한 은입자는 현상 과정을 통해 검은색 입자로 변해 눈에 보이게 됩니다. 빛이 많이 들어와서 은입자가 많이 반응한 곳은 어둡게 보이고 빛이 적게 들어와서 은입자가 많이 반응하지 않은 곳은 밝게 보이게 됩니다. 이를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 축의 경우는 빛을 쬐여.. 더보기
존 시스템 Part.2 5. 존 시스템을 위한 촬영 존 시스템에 대한 2번째 이야기 전에 존 시스템의 Part.1에서 이야기했던 내용에 대해서 떠올려 봅시다. 사진 작업에서 결과물에 영향을 주는 과정은 크게 3가지입니다. 촬영, 현상 작업, 인화 작업들이 그것에 해당합니다. 우선 첫번째 과정인 촬영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다음과 같은 풍경을 찍으려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촬영 전에 건물의 디테일을 살리면서 구름낀 하늘을 살리기 위해 머리속으로 각 영역에 대한 존을 생각합니다. 정면의 건물은 반사를 고려해서 존 6, 정면의 나무는 존 5, 그림자 진 곳은 존 3, 하늘을 존 4~5 으로 해서 찍어야 겠다. 각 존을 결정 했다면 측광 모드를 스팟 측광으로 전환 합니다. 그리고 최대 망원 상태에서 각 영역에 대한 노출을 따져 봅니다... 더보기
존 시스템 Part.1 1. 왜 존 시스템인가? 존 시스템은 1870년대 허트 드리필드의 필름 특성곡선과 감광도 측정에 따른 이론이 정립되면서 연구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30년대 미국의 안셀 아담스에 의해서 정립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의 목적은 촬영자가 원하는 톤을 결과물에 원하는 대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 시스템의 장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름 카메라의 결과물이 나오는 과정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 그림은 필름으로 프린트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먼저 피사체를 촬영하고 현상을 통해서 네거티브를 제작합니다. 우리가 흔히 필름이라고 부르는 것이 이 네거티브입니다. 그리고 네거티브를 확대기를 통해 프린트를 제작합니다. 우리가 결과물로 보는 것이 이 프린트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만들어진 프린트가 촬영 당시 떠올렸던 이미지와 얼마나.. 더보기
존 시스템 존 시스템 저자 정인숙 지음 출판사 눈빛 | 2006-08-18 출간 카테고리 예술/대중문화 책소개 흑백작업의 좋은 결과물을 얻기 위한 기술적 기초이론인 '존 시스... 요새는 사진에 관한 책들이 정말 많다. 사진을 어떤 마음으로 찍어야 하는지, 어떤 노출로 사진을 찍어야 하는지, 어떤 구도로 찍어야 하는지, 어떻게 후보정을 해야 하는지 등 - 내용도 다양하고 종류도 다양하다. 10년 전에 사진에 관한 책을 찾아보던 상황에 비하면 상전벽해라는 말이 아깝지 않다. 책이 많이 늘어난 것은 좋은 일이지만, 그 중에서는 취사선택이 필요한 책들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인이 보고 취사선택 가능하면 무엇보다 좋지만, 부득이하면 타인의 추천이나 리뷰 등을 참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하겠다. 그런 점에서 위의 책.. 더보기